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Java

Data Type

 

Java Data Type

 

데이터 타입은 메모리의 크기(Size) 메모리의 형태(Type) 지정하기 위한 도구.

메모리 형태란 bit 조합

 

1.기본형(base type) - 공간사이즈가 정해져 있어서 스택영역에 확보할수 있다.

   :주로 메모리의 Stack(스택)영역에 공간을 생성

   :데이터 타입을 가진 변수가 선언되고 초기값이 지정되면 스택영역에 공간을 확보

   :해당 클래스나 메서드가 소멸되면 메모리 공간도 같이 소멸

2.레퍼런형(reference type)

   :항상 Heap영역에 공간을 생성

   :new라는 지시어를 이용해 Heap영역에 공간을 확보

   :생성은 사용자가 생성하지만 소멸은 gabage collerctor가 필요없다 판단되면 소멸시킴

 

메모리의 두종류

스택

 선언한구문이 사라지면 스택의 메모리영역도 같이 사라진다.

         데이터 크기를 정할수 없을때 쓴다. 힙은 선언한 구문이 사라져도 메모리 영역에서 소멸되지 않는다.

   Java .net 힙을 OS 관리하게 한다.

  Gabage collector- 힙을 소멸시킬 없기 때문에  힙을 소멸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게 garbage collector이다.

 

Data Type 종류

   기본형

1-1 수치형

      :정수형 소수점의 앞단만 존재, 실수형보다 메모리를 적게 차지함

        - byte(1), char(2), short(2), int(4), long(8)  *char(2) 경우 숫자가 아닌 문자하나를 정하는 고정 값이다.

      :실수형 가소수점의 앞단과 뒷단이 동시에 존재

        - float,double

         

 1-2 논리형

        - boolean(bit)

 16진수 - 0~15 (10부터 A 15f)

 10진수 - 0~9

 8진수 - 0~7

 2진수 - 0~1

 bit - 2진수의 한자리(0 OR 1)

 byte - bit 8개가 모이면 byte 1byte=8bit 0~255(표현의 범위?)

 

   레퍼런스영역 (힙영역은 데이터 사이즈가 정해져 있지 않다.)

  2-1 Clas type

  2-2 Interface type

  2-3 Array type

 

Constant(상수) - 변수의 반댓말

   - 10진수 : 4, 10, 80

   - 8진수  : 04, 010, 080

   - 16진수 : 0x4, 0xA(10), 0x50(80)

   - LONG   : 10L, 4L, 010L 

   - 소수형 : 1234.5, 0.0123

   - 지수형 : 1.2345e3>> 1234.5

   - float형: 1234.5f

 

Compile : Jdatatype.java >> javac compile >> J_Datatype.class >> Java Run

Package : 클래스의 집합 (패키지명과 클래스명은 같으면 안된다. 자바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thod의 상속(오버라이딩)  (0) 2012.07.09
파일 io  (0) 2012.07.02
this  (0) 2012.06.29
Varags  (0) 2012.06.28
로또 실습  (0) 2012.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