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HTML

HTML / JavaScript

/////////////////////// HTML / Javascript ////////////////////////

 

1. 용어 정리


 (1)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기본언어
                  최신의 HTML 표준은 4.01이지만 HTML을 XML과 결합한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이 권고안으로 나와있다.

 

 (2) CSS(Cascading Style Sheets)


                  CSS는 사용자 정의의 디자인 속성, 즉 글꼴, 크기, 색상, 이벤트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CSS를 사용한 모든 페이지는 기존 버전과의 호환성 되게 어떤 브라우저에서도 내용을 열
                  람할 수 있다. CSS를 이용하여 설계자는 서로 다른 화면 해상도와 브라우저 상에서, 테이
                  블 없이도 동일하게 보여질 수 있는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3)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HTML이나 CSS로서 표현되지 못하는 영역을
                  DTD를 이용하여 정의하여 사용자 정의의 태그를 생성하여 제작할 수 있는 메타 마크업
                  언어이다.

 

 (4) DOM(Document Object Model)


                  DOM(Document Object Model)은 웹페이지에 표현되는 모든 속성에 대해 객체화 하여
                  이를 자유 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5) ECMAScript (Javascript)


                  자바 스크립트는 W3C 표준으로 제정된 것은 아니다. 자바 스크립트는 주석 코드를 
                  사용하여 비 호환성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숨겨져야 한다. 자바 스크립트는
                  HTML 문서의 Head 내에 위치해야 제대로 동작한다 따라서 문서의 Body 내에 자바 스
                  크립트를 위치시키는 것은 피해야 한다.

 
2. 웹 표준 검사

 

 http://validation.w3.org

 

3. XHTML 사용해야 하는 이유


             (1) 호환성 및 확장 가능성이 좋다.
             (2) 유지비용 감소 및 재생산성 확대
             (3) 경량의 로딩속도

 

4. DOCTYPE 문서형식


             (1) HTML 2.0 표준문서 형식
              <!DOCTYPE html PUBLIC "-//IETF//DTD HTML 2.0//EN">


             (2) HTML 3.2 표준 문서 형식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3.2 Final//EN">


             (3) HTML 4.01 표준 문서 형식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EN"
              "http://www.w3.org/TR/html4/strict.dtd">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Frameset//EN"
              "http://www.w3.org/TR/html4/frameset.dtd">


 (4) XHTML 1.0 표준 문서 형식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Strict//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strict.dtd">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Frameset//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frameset.dtd">


 (5) XHTML 1.1 표준 문서 형식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1//EN"
  "http://www.w3.org/TR/xhtml11/DTD/xhtml11.dtd">

 

5. 일반 형식(Transitional)과 엄격한 형식(Strict)


 HTML 4.01 Transitional은 예전에 있었거나 없어진 태그도 지원하며,
 <font>에 지정된 스타일도 제대로 표현하여 준다. 
 HTML 4.01 Strict은 HTML을 엄격하게 적용한다.
 <font> 태그에 적용된 스타일 보다는 CSS파일에서 지정된 스타일을 지켜 표현 해야 한다.

 가장 최상의 브라우저 호환성을 제공해 주는 문서 형식은 XHTML 1.0 Transitional을 사용하는 것이다.

 

'Web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0) 2012.07.23
XML 일반 문법 준수  (0) 2012.07.23
JQUERY 설정  (0) 2012.07.23
jq02.html  (0) 2012.07.23
jq01.html  (0) 2012.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