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Spring

Spring Framework 개념

Framework이란??

 

집을 짓는다고 생각하면 기초 공사부터 해야한다. 이것을 웹개발에서 보면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작업으로 생각해보자고 나온 개념이 프레임워크이다. 즉 기초공사는 이미 해놓고 그위에 한옥을 지을지 그냥 벽돌집을 지을지는 우리가 하는 것이다.

  • 특정 개념들의 추상화를 제공하는 여러 클래스나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 추상적인 개념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같이 작업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컴포넌트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 좀더 높은 수준에서 패턴들을 조직화한다.

      

      

      

    Learning Curve가 좀 길다. 즉 숙달되어서 쓰기까지의 기간이 좀 길다.

      

      

    Spirng Framework

  • Spring is a layered Java/J2EE application framework, based on code published in Expert One-on-One J2EE Design and Development by Rod Johnson (Wrox, 2002)
  • Spring은 struts같이 single-tier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전체의 구조를 잡도록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 프레임

      

      

    Spring Framework overview

 

IoC - 내가 직접 객체를 생성할 수 없고 그 객체를 소멸 시킬 수도 없다

(Inversing of Control)

  • Spring 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 - 제어권은 Spring Ioc Container가 가지게 되었다.
  • POJO(Plain Old Java Object) 객체의 생성에서 생명주기의 관리까지를 Spring Container 에게 담당시킴으로써(XML 이용) 개발에 있어서 편의성과 재사용성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개념
  •  

     

    싱글톤 - 클래스 하나에 하나의 객체만 만들 수 있다.

     

  • 의존성 주입 ( Dependency Injection)
  • Dependency Injection (DI : 의존성 주입)
  • IoC 컨테이너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는 POJO Bean 객체를 필요로 하는 곳에 XML 설정 등을 이용해 주입시켜주는 방식
  •  

     

    게임을 하고 싶어서 (서비스객체) 게임을 하는 프로그램에서 알아서 설치를 하게 된다 설치를 직접 누르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그런 식으로 의존성이 주입이 된다. 즉 내가 하고 싶은 게임이 자동으로 설치가 되어있는 상태 그런것을 의존성 주입이라고 한다.

      

    즉 객체를 사용하고 싶은데 그 객체를 new로 생성하는게 아니라 get이나 set으로 그 객체를 자동으로 쓰게 되는것

    'Web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2번쨰  (0) 2013.08.31
    Spring DI ( 의존성 주입 방법 ) 1일차  (0) 2013.08.24
    Spring json maven 설정  (0) 2012.09.10
    Spring Take 선물주기  (0) 2012.09.09
    Spring Tiles 설정  (0) 201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