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제어자 public, protected, private
변수나 메쏘드를 선언할 때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modifier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관련 modifier를 통해서 객체지향 언어의 중요 특성 중 하나인 캡슐화(encapsulation)과 정보 숨김(information hiding)을 구현할 수 있다.
* 접근 제어자
구분 |
modifier |
설명 |
접근 권한 |
public |
모든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
protected |
동일 패키지에 속하는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 관계의 클래스에 의해 접근이 가능하다. | |
private |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
* 접근 권한
종류 |
클래스 |
하위 클래스 |
동일 패키지 |
모든 클래스 |
private |
O |
X |
X |
X |
(default) |
O |
X |
O |
X |
protected |
O |
O |
O |
X |
public |
O |
O |
O |
O |
- private
접근 관련 modifier 중에서 가장 권한 범위가 좋은 modifier로 자기 자신 클래스 내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멤버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
- (default)
접근 관련 modifier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는 동일 패키지에 속하는 클래스만 접근할 수 있는 멤버이다.
- protected
동일 패키지와 동일 패키지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하위 클래스 관계에 있는 클래스도 접근할 수 있다.
- public
모든 클래스에 의해 접근할 수 있다. 즉, 접근 제약이 없다.
위의 modifier는 변수의 선언, 생성자, 메소드 모두에 공통으로 적용된다.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랜덤으로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소스 (0) | 2014.11.10 |
---|---|
<Vector> for, Iterator, Enumeration 반복,열거형 출력 (0) | 2014.11.10 |
① final 에 대한 이해 (0) | 2014.11.04 |
isEmpty Null 체크하기 (0) | 2014.11.03 |
Vector, HashTable, Enumeration 예제 (0) | 201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