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

(133)
기초 설정 1. 자바 설치- 최소한 1.6이상 - c:\java\jdk1.7 자바 1.5 이하 버전의 경우에 annotation @Override 안먹는다. 내컴퓨터 - 오른쪽마우스- 속성 고급탭 누르고 환경변수 JAVA_HOME C:\java\jdk1.7 path 수정 맨앞에 %JAVA_HOME%\bin; 추가 2. 이클립스 압축 풀고 tomcatPluginV33 압축 풀고, com.sysdeo.eclipse.tomcat_3.3.0 이라는 폴더를 eclipse/plugins 폴더에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기 한다 이클립스를 다시 켜면 고양이 세마리가 보여야 한다. window - preference - 이클립스 설정 tomcat - 버전하고 톰캣 위치 맞춰줄것 tomcat이 있는 폴더의 bin 바로위까지 프로젝트 ..
SpringWeb2 만들기 ㅁㅁ
SpringWeb1 만들기 C:\tomcat6\webapps\ROOT\WEB-INF web.xml을 가지고 와야함
Spring 2번쨰 IoC/DI - 객체를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만들어서 제공해준다. AutoWired 속성 AOP - 각 모듈(클래스)별로 공통의 관심사(공통코드)이걸 클래스내에 두지않고 클래스 외부로 빼서 따로 만들고 필요할때 끼워 넣기 annotation - 우리말로 해석하면 주석, 코멘트, 컴파일러에서 또는 프레임워크에게 주석을 이용해서 작업을 하도록 지시 (c언어라면 attribute, 조건부 컴파일 지시어 쯤 됨) 메서드 검사 - 메서드 실행 전후에 가로채서 성능 측정할때 트랜잭션 처리 - 특정 메서드에 트랜잭션을 걸어준다. 예외 반환처리 이미 만들어 놓은 소스 건드리지않고, 중간에 소스를 끼워넣을수 있다. 나중에 프로젝트 완료후 부분적으로 빼낼수있음
Spring DI ( 의존성 주입 방법 ) 1일차 MVC(Model View Controler) Model - db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부분 dto,dao,action view - 화면에 보여지는 부분 ,html, css, javascript, jsp, jstl, Jquery controller - action 요청에 맞추어서 view Model2 연동 1. DI (의존성 주입) : 장점 : 객체를 자동으로 만듬 싱글톤으로 생성했다가 파기했다가 벌어지지 않는 단점을 갖고있다. 객체를 미리 만들어 놨다가 스타트할경우 속도가 느림, 응답시간은 매우 빠름, 자바 객체를 생성을 할경우 new 를 사용해서 객체를 생성해서 사용하는데 스프링에서는 의존성주입이라는 기능이 갖춰져있음 기본적인 Spring lib 파일명은 3가지 commons-logging org.sp..
Jquery 참고 하기 ◆ www.sqler.com ◆ http://findfun.tistory.com/193 .appendTo() ==> 1.새로운 요소를 타겟(target)에 해당하는 요소 마지막에 추가합니다. $("span").appendTo("#foo"); .append() ==> 2 .last() ==> 7 .siblings() ==> 8 .prevAll() ==> 11 .prev() ==> 12 .prevUntil() ==> 13 .parentsUntil() ==> 14 ========================= .offsetPosition() ==> 16 .parent() ==> 17,18 .not() ==> 19 .nextUntil() ==> 22 .nextAll() ==> 23 .next() ==> 26(선..
Jquery Post 전송하기 Jquery에서 post 전송하기 - HTML Or Jsp 1 2 3 4 5 - Jquery 1 2 3 4 5 $("#menuPath").attr("value" , info.contents); $("#menu").attr("value" , info.menu); $("#sub").attr("value" , info.sub); $("#frmMenu").attr({action:"/adminMain.do", method:'post'}).submit(); 완전 간단함 ㅋㅋ
IE문서모드 브라우저 모드 설정 과거 HTTP 표준이 지켜지지 않을때 IE가 시장을 지배한탓에 IE8에는 여러가지 모드가 있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것이 호환성 모드이다. IE8이 표준에 대한 지원을 강화함에 따라 이전 전용코드들에 대해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위한 땜빵이 호환성 모드이다. 표준과 IE전용을 적당히 석어서 랜더링한다. IE8에보면 F12로 개발자모드 창을 띄울수있다. 그곳에 보면 모드가 2종류가있다. 브라우져모드 : 7 / 8 / 8호환성 문서모드 : 7표준 /8표준 / 쿼크 이것은 "현재의 문서를 어떤방식으로 랜더링을 할것인가?" 를 선택하는것이다. 브라우져 모드는 브라우져의 기본 셋팅을 정하는것이고 문서모드는 자신의 랜더링방식을 명시하는것이다. (기능적으로 둘은 동일한데 어디서 정의를 하는가의 차이이다.)..